맨위로가기

김성주 (기업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성주는 성주그룹의 설립자이자 MCM Holding AG의 회장이다. 1990년 성주그룹을 설립하여 구찌, 소니아 리키엘, YSL 등을 국내에 런칭하며 한국 패션 산업 발전에 기여했고, 2005년에는 MCM을 인수하여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 시장에 진출시켰다. ㈜성주재단을 설립하여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대한적십자사 총재를 역임했으며,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으로부터 대영 제국 훈장을 받았다. 또한, 여러 권위 있는 기관에서 수상 경력이 있으며, 저서를 집필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동문 - 윤형주
    윤형주는 시인 윤영춘과 성악가 김귀순의 아들로, '트윈 폴리오'로 데뷔하여 솔로 가수와 방송인, 사업가로 활동하며 광고 음악 제작 및 기업 경영에도 참여한 인물이다.
  •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동문 - 안내상
    안내상은 어려운 환경을 극복하고 사회 운동에 참여한 연세대학교 신학과 출신으로,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구속된 이후 연극 배우로 전향하여 영화, 드라마, 웹 예능, 시사 교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대한적십자사 대표 - 김상협
    김상협은 삼양그룹 창업주의 아들이자 독립운동가의 조카로, 도쿄대 졸업 후 고려대 교수와 총장, 문교부 장관, 국무총리, 대한적십자사 총재 등을 역임한 정치인이자 교육자이며, 친일 행적 논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요구된다.
  • 대한적십자사 대표 - 이호 (법조인)
    이호는 일제강점기 일본 유학 후 법조인으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법무부 장관, 내무부 장관, 주일본 대사 등을 역임하고 12·12 군사 반란 이후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장을 지냈다.
  • 애머스트 대학교 동문 - 캘빈 쿨리지
    미국의 30대 대통령 캘빈 쿨리지는 공화당 소속으로 매사추세츠 주지사를 거쳐 부통령을 지내다 하딩 대통령 사망 후 대통령직을 승계, 작은 정부와 자유방임주의를 옹호하며 경제 호황기를 이끌어 "침묵의 캘"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 애머스트 대학교 동문 - 켄 하워드
    켄 하워드는 미국의 배우이자 미국 배우 조합의 전 전국 회장이었으며, 연극, 영화, 텔레비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다수의 상을 수상하고 2016년 사망했다.
김성주 (기업인)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김성주
로마자 표기Gim Seong-ju
출생일1956년 11월 19일
출생지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경력MCM 소유
성주그룹 글로벌 CVO
독일 MCM Holding AG 대표
전 대한적십자사 총재
직업기업인

2. 생애

김성주는 대성그룹 창업자 김수근의 딸로, 애머스트 대학교와 하버드 대학교에서 공부했다.[3] 2015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으로부터 대영 제국 훈장 명예 훈장(OBE)을 받았다.[1]

김성주는 "Succeed to Serve"(섬기기 위해 성공한다)라는 신념을 바탕으로 기업을 운영하며 사회에 공헌하고 있다.

2. 1. 기업 활동

1990년 ㈜성주그룹을 설립하고 구찌(Gucci), 소니아 리키엘(Sonia Rykiel), 입생로랑(YSL), 마크스 & 스펜서(Marks & Spencer) 등 글로벌 명품 패션 브랜드를 국내에 런칭하며 한국 패션산업을 한층 발전시키는데 기여했다.

2005년에는 한국 기업 최초로 독일 명품 브랜드 MCM을 인수하여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했으며, 한국 및 이태리 공방에서 제작한 명품을 전세계 40여개국에 수출하는 등 한국 패션 산업의 글로벌화를 이끌었다.

김성주는 정직하고 투명한 기업경영을 통해 아름다운 자본주의의 모범이 되고, 중소기업과 청년, 여성을 키워 글로벌 무대를 만들어 주겠다는 미션을 가지고 진취적인 사업 전개와 글로벌 활동을 펼쳐왔다. 2013년부터 약 4년간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의 기업인 자문 위원회(ABAC)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Amherst College (미국 매사추세츠), Business School Lausanne (스위스 샤반느), University of the Arts London (영국 런던)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7년 12월 독일 패션 협회 (Fashion Council Germany)의 자문위원으로 임명되었다.

2. 2. 사회 공헌 활동

김성주는 "Succeed to Serve"라는 개인적 신념과 경영 철학을 바탕으로 2009년 ㈜성주재단을 설립하여 기업 순수익의 10%를 사회에 환원하고 있다. 매년 60여 개의 국내외 NGO 단체를 지원하며, 코소보 전쟁 피해자 지원, Asia House(UK)와 Victoria & Albert Museum(UK) 등과 같은 문화 및 자선 공연, 세계 여성 대회(Global Summit of Women) 네트워크를 통한 여성의 경제/사회 활동 활성화를 위한 교육에도 힘쓰고 있다. 2014년부터 약 3년간 대한적십자사 총재로도 활동했다.[1]

2. 3. 대한적십자사 총재 역임

김성주는 2014년부터 3년간 대한적십자사 총재를 역임했다.[1]

3. 수상

연도수상 내역
1997년세계 경제 포럼 선정 "미래를 위한 글로벌 리더" [1]
1999년워킹 우먼 선정 "20명의 가장 영향력 있는 국제 비즈니스 여성" [2]
2001년아시아위크 선정 "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7인" [3]
2002년한국언론인협회 선정 "자랑스러운 한국인 대상"
2003년CNN 선정 아시아 최고 "새로운 세기의 리더"
2004년빌란츠 선정 "세계 75인의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2004년대한민국 여성단체협의회 선정 "올해의 여성상"
2005년YWCA 한국 여성 지도자상 젊은 리더 부문 수상
2007년AAFNY (뉴욕 아시안 아메리칸 연맹) 선정 "아시안 아메리카 정신" 갈라 수상자
2007년한국녹색재단 선정 "세상을 밝히는 100인 2007"
2008년여성 리더십 교환 선정 "WLE 컴퍼스 어워드"
2009년국제휴먼밸류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Human Values) "2009 기업윤리상(Ethics in Business Awards)"
2011년비즈니스 스쿨 로잔 명예 경영학 명예 박사
2012년Forbes Asia ‘아시아 파워 비즈니스우먼 50인’
2012년Fortune Asia 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비즈니스 25인
2012년UN인도주의 업무조정국(United Nations Office for Humanitarian Affair) ‘DNA회의 (Decide Now Act Summit)’ ‘세계에서 가장 창의적인 비전을 가진 101명의 리더’
2015년영국 엘리자베스 여왕 2세 대영제국훈장 (Honorary Officer of the British Empire, OBE) , "대영 제국 훈장 명예 사령관"


4. 학력


  • 애머스트 대학교 졸업[3]
  • 하버드 대학교 졸업[3]
  • 비즈니스 스쿨 로잔 (스위스 샤반느) 명예박사 학위 수여
  • 런던 예술대학교 (영국 런던) 명예박사 학위 수여

5. 저서


  • Wake Up Call: A Beautiful Outcast영어, 랜덤하우스 중앙, 2000
  • 〈기업의 책임과 여성에 대한 태도〉, 프랑크-위르겐 리히터·패멀라 마 엮음, Recreating Asia: Visions for a New Century영어, 존 와일리, 2002, ISBN 978-0470820858

6. 가족 관계

김성주의 아버지 김수근은 대한민국재벌 대성그룹의 창업자로, 에너지, 자동차 부품, 석유 탐사, 산업용 가스 등을 포함하는 사업을 한다.[2][3]

참조

[1] 웹사이트 Sung-Joo Kim made an Honorary Officer of the Order of the British Empire https://www.gov.uk/g[...] UK Government 2015-06-19
[2] 뉴스 Profile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3] 뉴스 Sungjoo Group's Sung-Joo Kim https://www.bloomber[...] Bloombe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